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8)
주식담보대출 금리 비교 해봤습니다! (이벤트 내용 포함) 증권사별 주식담보대출 금리를 비교하여 똑똑하게 투자하자! 안녕하세요~ 재테크하는 드썸입니다 :) 오늘은 주식담보대출 금리 비교를 해보려고 합니다. 목돈이 주식에 묶여 있는데 급전이 필요한 경우 주식담보대출을 이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증권사마다 적용금리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반드시 증권사 주식담보대출 이자율 비교를 먼저하고 똑똑하게 이용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입니다. 특히 금리가 연 6.0~9.3%의 고금리이기 때문에 더욱더 자세히 알아보고 똑똑하고 현명하게 투자해야 할 것입니다. ※증권사 주식담보대출 이자율(2021년 12월 20일, 금융투자협회) 구분 이자율 비고 KB증권 6.0~7.5% (갭1.5) 고객 등급별 이자율 차등 적용 NH투자증권 6.9~8.2% (갭1.3) 고객 등급별 이자율 차등 ..
증권사 신용융자 이자율 비교 & 고정금리 소개 사고싶은 종목이 있는데 현금이 부족하다면.. 증권사 신용융자를 이용하자! 안녕하세요! 재테크하는 드썸입니다 :) 오늘은 증권사 신용융자에 대해서 이야기 할건데요, 주식투자를 하다보면 참 여러가지 변수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사고싶은 종목이 있거나 추가매수를 하고 싶은데 현금이 없는 경우입니다.. ㄸㄹㄹ.. 이때 이용해볼 수 있는 것이 바로 증권사 신용융자 서비스입니다. 신용융자 신용융자는 쉽게 말하면 내가 가지고 있는 현금보다 더 많이 주문을 넣을 수 있는 수단 중 하나입니다. 즉, 부족분만큼 증권사에서 대출을 해주는 개념인거죠. 예를들면, 삼성전자를 사고싶은데 주문가능현금이 100만원 있습니다. 이때 증권사 신용융자를 사용하면 77,100원짜리 삼성전자 주식을 최대 43주(333만원 어치) 살 수 ..
증권사별 해외주식 수수료 이벤트 비교해보기! 똑똑한 투자의 첫걸음, 매매수수료! 안녕하세요! 재테크하는 드썸입니다~ 이번에는 증권사별 해외주식 수수료 이벤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우리가 주식투자를 할 때 꼭 챙겨야 하는 부분이 바로 매매수수료인데요, 이것이 생각보다 중요한 이유는 수익이 나든 나지 않든 발생하는 것이 매매수수료이기 때문이죠.. 물려있던 주식을 끝내 손절을 할 때 매우 마음이 아픈데 수수료까지 크게 발생하면 기분이 매우 좋지 않죠.. 저같은 경우에는 국내주식은 DB금융투자, 해외주식은 한국투자증권에서 거래를 하고 있었는데요, 이렇게 나눠서 한 이유는 국내주식 매매수수료, 신용이자 등 DB금융투자에서 혜택이 많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DB금융투자는 그동안 해외주식 서비스를 하지 않았어서 한국투자증권 계좌를 터서..
투자와 투기의 차이 "자신이 스스로 위험에 대한 통제권을 가지고 있다면 스스로 위험에 대한 통제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 - 샤프슈터 박문환 이사님 '샤프슈터가 아들에게 보내는 쓰는 185번째 편지 中'
부동산 양도세 총정리 [2021.06~ 개정안 적용] ▶양도차익 : 부동산 투자로 발생한 차익 ▶기본공제 : 250만원 (양도차익 액수, 주택수 등 상관없이 공통 적용됨) ▶과세표준 = 양도차익 - 기본공제 ▶양도세 = 과세표준*기본세율-누진공제 ▶기본세율 구간 세율 누진공제 1,200만원 이하 6% 1,200 ~ 4,600만원 15% 108만원 4,600 ~ 8,800만원 24% 522만원 8,800 ~ 1억 5,000만원 35% 1,490만원 1억 5,000만원 ~ 3억원 38% 1,940만원 3억원 ~ 5억원 40% 2,540만원 5억원 초과 42% 3,540만원 1. 2년 이상 보유 & 2주택 이상 ▶다주택자 가산세 적용 - 2주택 : +20% - 3주택 : +30% ▶양도세 = 과세표준*(기본세율+다주택자 가산세율)-누진공제 ▶가산세 포함 다주택자..
ETF_마통으로 KODEX 레버리지 투자하기 마이너스 통장(이하 '마통'), 직장인이라면 하나쯤 개설해서 가지고 있는데요, 마통만의 장점을 활용해 계획적으로 잘 사용한다면 굉장히 효과적인 투자가 가능합니다. 장점1.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다 장점2. 사용한 금액과 사용한 기간만큼만 이자를 낸다 위의 2가지 장점으로 최소한의 이자비용만 부담하고 레버리지 투자가 가능합니다. 이는 투자수익률의 극대화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단, 마통도 '빚'이기 때문에 위험을 적극적으로 줄이거나 제거하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KODEX 레버리지' 를 활용한 '분할 매수 → 적정수익 매도 → 수익 누적'의 전략을 사용합니다. KODEX 레버리지는 코스피200 지수의 하루 움직임을 2배로 추종하는 ETF 입니다. 2배씩 움직이기 때문에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
원금보장의 함정 우리는 주변 지인이나 뉴스 등을 통해 '주식으로 집안을 말아먹었다', '전세자금을 날렸다' 라는 말을 종종 들으며 자랐다. 그러다 보니 증권투자를 하겠다 마음먹고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자연스럽게 '원금보장'이라는 말을 입에 달고 다니며 안전한 투자처를 찾곤 한다. 그렇다면 은행에 맡기면 정말 '원금보장'이 되는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명목적으로는 원금보장이 된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원금보장이 안된다. 물가상승으로 인해 화폐의 구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쉽게 예를 들어 보면, 1,000만 원을 3년 동안 연 2%의 수익률로 투자를 했다고 가정해 보자. 그럼 단순하게 3년 후 1,060만 원을 받을 것이다. 하지만 같은 기간 연평균 물가가 2.1% 올랐다면? 실질적으로 3년 후 내 돈의 가치는..
가계부 작성 팁 사회초년생 & 직장인 (충당금, 투자, 계좌분류) 가계부는 어렵게 생각할 거 없이 수입과 지출, 특히 지출을 관리하는 수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개인적으로 양식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각자 자신이 하고 싶은 대로 하면 되지만,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은 있다. (고정지출, 변동지출 등 관련 내용은 다른 곳에서 많이 설명하고 있고, 대부분 알고 있기 때문에 Pass~!) 1. 충당금 충당금은 쉽게 말하면 미래에 발생할 비용을 미리부터 적립해 둔다는 개념이다. 자산 규모가 큰 기업회계에서 보통 사용하지만 개인 지출관리에도 매우 중요하다. 사용방법은 화장품 구입, 경조사, 미용실 펌, 자동차세, 자동차보험 등 특정 주기, 반복적으로 10만원 이상의 지출이 발생할 수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매월 일정금액을 따로 적립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의 화장..